본문 바로가기
세금정보

재산세란?(재산세 대상, 세율, 납부기한 등)

by 왕방울이 2022. 7. 12.
반응형

재산세란?

재산세는 과세 대상인 재산(토지, 건축물, 주택, 선박, 항공기)의 소유 사실에 대해 과세하는 보유세이며 보편성, 안정성을 가진 전형적인 시 · 군 · 자치구의 독립세로 그 수입을 일반재정수요에 충당하고자 하는 보통세입니다.

납세의무자는?

재산세는 과세기준일인 매년 6월 1일 현재 재산을 사실상 소유하고 있는 자는 재산세를 납부할 의무가 있습니다. 다만, 공유재산인 경우에는 그 지분에 해당하는 부분(지분의 표시가 없는 경우에는 지분이 균등한 것으로 본다)에 대하여 그 지분권자를 납세의무자로 보며, 주택의 건물과 부속 토지의 소유자가 다를 경우에는 그 주택에 대한 산출 세액을 건축물과 그 부속 토지의 시가 표준액 비율로 안분계산한 부분에 대해서는 그 소유자가 납세의무자입니다

 

재산세 세율은? (주택의 경우)

과세표준 세율
6천만원 이하 1,000분의 1
6천만원 초과 1억5천만원 이하 6만원+6천만원 초과 금액의 1,000분의 1.5
1억5천만원 초과 3억원 이하 19만5천원+1억5천만원 초과 금액의 1,000분의 2.5
3억 초과 만원+3억 초과 금액의 1,000분의 4

재산세 납부 기한은?

- 토지 : 매년 9월 16일부터 9월 30일까지 - 건축물 · 선박 · 항공기 : 매년 7월 16일부터 7월 31일까지 * 주택 산출 세액의 1/2은 매년 7월 16일부터 7월 31일까지, 나머지 1/2은 9월 16일부터 9월 30일까지 납부합니다.

재산세 분할납부도 가능하답니다.

재산세의 납부세액이 250만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납부할 세액의 일부를 납부 기한이 지나간 날부터 2개월 이내에 분납할 수 있음. 분할납부 세액의 기준은 납부할 세액이 500만원 이하일 때는 250만원 초과 금액이며, 납부할 세액이 500만원을 초과하는 때에는 그 세액의 50/100 이하의 금액 분할납부 신청은 재산세 납부 기한 내에 과세 관청에 신청서 제출하면 됩니다.

재산세 세부담 상한제도가 있는데요

당해 연도 재산세 산출 세액이 직전 연도 재산세의 150%를 초과할 수 없는 제도가 있어요. 다만, 주택의 경우에는 아래 상한 비율을 적용한다.

 

주택 가격 상한 비율

3억원 이하 105/100
3억원 초과 6억원 이하 110/100
6억원 초과 130/100


 

재산세 납부 대상과 세율, 납부 방법 등을 잘 확인해서 납부 기한 지나지 않도록 해요~~!!

반응형

댓글